Form cover
1 / 2 페이지

산불피해 회복과 산림관리 전환을 위한 긴급집담회

역대 최악 수준의 산불이 큰 인명 피해와 막대한 손실을 야기하고 가까스로 진화되었습니다. 산불은 겨우 꺼졌지만, 대형산불을 잉태한 산림청의 임업 관행과 부조리에 대한 국민 마음속의 불은 꺼지지 않았습니다.

‘괴물 산불’을 불러온 산림청의 책임을 본격적으로 따져 묻고 피해복구 대책과 재발 방지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공동행동을 위해 긴급 집담회를 제안합니다. 아래의 취지에 공감하는 개인, 단체, 전문가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산림청의 소나무 조림과 숲가꾸기 사업이 대형산불의 가장 큰 원인이다.

➡️ 산림청의 산불 예방 및 진화 체계가 부실하고 대응 역량이 미흡하다.

➡️ 대형산불 재난 피해를 불러일으킨 산림청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 산불 피해지 복구는 벌채와 인공조림이 아닌 자연복원에 기반해야 한다.

➡️ 산림재난 위기 대응과 산림관리의 생태적 전환을 위한 대개혁이 필요하다.

 

일시: 4월 11일(금) 오후 4시 ~ 6시 30분

장소: 서울특별시 중구 다동길 5 광일빌딩 11층 클럽806 서울 (온라인 참여 병행)

 

<발제>

1. 산불 재난 현장의 단서와 증언 (최병성 기후재난연구소 대표)

2. 산불을 산림청에게 맡겨야 하나 (황정석 산불정책기술연구소 소장)

3. 산림청에게 책임을 물어야 하는 이유 (홍석환 부산대학교 교수)

4. 조림과 숲가꾸기 정책의 생태적 전환 (이규송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5. 불탄숲의 자연회복과 리와일딩 (김산하 생명다양성재단 대표)

 

발제 이후 함께 공동행동을 논의합니다.

(가칭) 산불피해 회복과 산림관리 전환을 위한 시민모임
문의: 최진우 (010-8574-4690)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참여 방식

참여 방식
A
B

거주지 (시·군·구 까지)

단체 및 소속

직위


제출하면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게 됩니다.

제출하면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게 됩니다.

초상권 사용 동의

[서울환경연합]은 행사 관계자가 촬영한 저작물(사진 및 동영상)에 대한 초상권을 사용 동의를 받고 있습니다. 촬영된 저작물은 서울환경연합의 행사·교육 자료 및 홍보 콘텐츠 용도로 사용되며, 저작물에 대한 소유권·저작권은 서울환경연합에게 있습니다. 본 초상권 사용 동의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철회하고자 하는 사실을 전화(02-735-7088), 메일([email protected]), 카카오톡으로 알림으로 인해 본 동의서의 효력은 상실됩니다. 단, 제작 완료된 영상물 등 철회 이전의 초상권 이용에 대해서는 효력이 유지됩니다.
초상권 사용 동의